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돈 생각에 관한 견해

by moneyfreedom 2023. 2. 10.
반응형

돈 생각에 대한 견해

사람이 돈 생각의 영향으로 움직일 때 꼭 의식적으로 돈을 생각하지는 않는다. 정확히 말해 돈 생각이란 능력을 시험하는 일을 혼자 완수하고 싶고, 남이 자신에게 의지해 도움을 청하는 부담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망이 커진 상태를 가리킨다. 지금까지 진행된 조사에 따르면 돈 생각이 성취욕을 키우는 것으로 보인다. 사람들은 돈 생각이 발동하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쉽지 않은 과제를 더 잘 해내고, 일도 더 열심히 하고 끈기가 는다. 끈기와 독립성과 성취에는 분명 바람직한 이점이 있다.

 

1. 돈 생각의 역설

돈 생각에서 어두운 면으로 보이는 것은 혼자 일하고 싶은 욕망을 낳고, 남들도 독립적이어서 도움이 필요하지 않기를 바라게 된다는 점이다. 사회적 관점에서 보면 냉정하고 남을 생각할 줄 모르고, 남과 어울리지 않으려는 듯 보일 성향이다. 이런 성향 가운데 무엇이 우리 일상과 관련 있을까? 돈 생각이 일으키는 이 현상은 부자를 냉정하고 사악하고 남을 돕지 않으려 하고 오로지 더 부유해지는 데만 관심이 있다고 보는 우리 문화의 부정적 고정관념에 곧장 장단을 맞춘다.

 

돈과 부에 때로 함께 하는 비사교적 행동을 사악하다고 해석하지 말고 이제는 문화적 관점에서  바라보자. 연민과 배려가 부족하다는 평가가 실제로는 상호 의지보다 자립을 가치 있게 보는 사회의 지향성을 나타내는 신호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돈이 없으면 성과가 떨어지고 인간관계가 나빠지고 기대 수명이 확 줄어든다. 그러나 돈이 있으면 체제 정당화나 돈 생각에 가담할 가능성이 커진다. 우리는 가난과 특혜를 꼭 이렇게밖에 경험하지 못하는가? 중간 길은 없을까? 다행히도 길이 있다. 경제적으로 더 안정되기를 바라면서도 사회적 상호 연결성과 연민을 높이 사는 가치관을 지키고 싶다면, 기쁜 소식이 있다.

 

2. 돈 생각의 나쁜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한 질문

자신에게 아래 물음을 던져 보라.

- 인간관계와 성취 중 나는 무엇이 더 가치를 두는가?

- 남이 내게 도와달라고 할 때 귀찮은가? 귀찮다면 왜 그런가? 남이 내게 기대는 것이 내 가치관과 부딪히는가?

- 남에게 기댔을 때 나는 어떤 반응을 받았는가? 도움받아야 한다는 이유로 비난받거나 벌받은 적이 있는가?

- 내가 자라난 방식은 직업윤리와 인간관계를 보는 관점을 형성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 이런 관점이 오늘날 나에게 도움이 되는가?

 

3. 돈 생각의 나쁜 영향에서 벗어나기 위한 실천 사항

돈 생각으로 나타날 일들이 마음에 걸린다면, 금융 자산이 늘더라도 대인 관계를 바라보는 가치관을 확실히 지키고 싶다면 기운 내라. 돈 생각의 악영향을 모조리 없앤다고 증명된 매우 간단한 실천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평등에 대해 적어 보라. 한 조사에서 연구자들이 밝혀낸 내용에 따르면 사람들에게 남과 내가 평등한 사항을 세 가지씩 적게 했더니 특권이 낳는 악영향이 눈에 띄게 줄었다.

- 자연을 가까이 하라.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캠퍼스에서 실시한 몇몇 실험에 따르면, 자연을 아름답게 담은 사진을 참가자에게 보여 주면 더 너그러워지고 남을 더 믿었다. 또 아름다운 식물이 있는 실험실에 앉은 조사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남을 돕는 행동을 더 많이 보였다.

- 경외심을 안기는 대상을 접하라. 피프 박사와 동료들에 따르면 과거에 큰 경외심을 느꼈던 자연경관을 떠올리지만 해도 '보잘것없는 나'를 느꼈다. 광활한 우주에 속하는 보잘것없는 나를 느끼고 나면 다음 과제에서 더 너그러워지고 더 윤리적으로 행동했다. 그러므로 당신의 자아가 슬쩍 우쭐해질 때 경외심을 안기는 대상을 접하라. 헛바람이 빠질 것이다.

- 연민의 감정을 발달시켜라. 저소득층일수록 남에게 친절한 경향은 평등주의 가치관으로 이어진다. 연민할 줄 아는 마음을 키우고 싶은가? 연구에 따르면 간단한 명상 연습으로 연민을 훈련하고 키울 수 있다. 연민 명상이 굳이 영적 수련으로 이어지지 않아도 된다. 지금까지 대중적인 연민 명상이 여럿 개발되었다. 그 가운데 자비 명상은 신앙이나 종교적인 요소가 들어 있지 않아. 연습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