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

불공평한 부의 분배 역이자 화폐론의 선구자는 독일계 아르헨티나 사업가인 실비오 게젤이었다. 그는 경제성장이 바람직한 일이라는 데 누구도 의문을 품지 않았던 시대에 살았고, 뛰어난 선지자이기는 했지만 지구와 기술이 무한한 경제성장을 수용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전혀 의심하지 않았다. 그의 주된 관심사는 당대의 불공평한 부의 분배를 바로잡는 일이었다. 그는 전례 없는 풍요 속에서 전례 없는 빈곤을 겪는 이유가 돈을 쥔 사람들이 막대한 이득을 부당하게 취하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돈을 보유한 사람은 화폐인 동시에 비축 가능한 물품을 보유한 셈이었다. 다른 물품은 금이나 화폐와 같은 방식으로 비축할 수 없다. 그것들은 썩고 녹슬고, 도둑 맞거나 구식이 되고, 저장 및 운송비용이 들기 때문이다. 1. 부의 양극화 금은 물건의 특성과 .. 2023. 1. 30.
돈의 불변성과 기하급수적 상승 우리에게 필요한 것들이 변질되는 세상에서는 나눠 쓰는 일이 자연스럽다. 나누지 않고 쌓아두는 사람은 결국 상한 빵, 녹슨 연장, 썩은 과일 더미 위에 홀로 외로이 앉아 있게 된다. 아무도 돕지 않았기에 아무에게도 도움 받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의 돈은 빵이나 과일과도 다르고, 그 어떤 자연물과도 다르다. 태어나고 죽어 다시 태어나는 자연의 순환법칙, 만물이 결국은 그 근원으로 돌아간다는 법칙에서 유일하게 돈만이 예외이다. 돈은 시간이 지나도 변질되기는커녕, 물질성을 벗어나 불변하거나 심지어 이자에 힘입어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난다. 1. 돈과 자아 우리는 돈을 자아와 긴밀하게 결부시켜 생각한다. 자신의 돈을 자아의 연장으로 여길 정도여서 돈을 빼앗기면 자신의 일부를 뜯기는 것처럼 느낀다. 이렇게 돈.. 2023. 1. 29.
공유자원의 관리 화폐 창출이 대부분 연방정부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생각할지도 모르지만 그렇지 않다. 화폐의 기반이 될 공유자원은 생태 지역권별로 관리되는 것이 최선이다. 예컨대 많은 오염원들이 지역 생태계에 가장 큰 피해를 입히고 지구 전체로는 간접적인 피해를 입힐 뿐이기 때문이다. 사람들과 나무들이 입는 오존 피해가 국지적으로 높은 오존 농도 때문이라면, 전 세계 오존 배출량 제한은 별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오존 배출권을 기반으로 하는 화폐 발행은 캘리포이나 주정부가 맡을 수도 있고 더 작은 부서에서 맡을 수도 있다. 국지적 피해와 전 지구적 피해가 겹치는 경우, 오염자는 한 오염원에 대해 두 가지 사용권을 사야 할지도 모른다. 1. 재산 비판론자들의 견해 가장 중요한 공유자원인 땅 역시 본래 국지적 자원이.. 2023. 1. 28.
화폐로 사용되는 것의 가치 화폐로 사용되는 것은 뭐든 가치가 높아져 사람들이 더 많이 가지려 한다는 원리를 생각해 보자. 금이 화폐일 때 사람들은 실제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금을 캐내려고 한다. 소가 화폐인 사회에서는 필요 이상으로 많은 소를 키우려고 한다. 일부의 제안대로 석유나 에너지를 화폐 기반으로 사용한다면 사람들은 더 많은 석유를 생산하고 비축하려 들겠지만 채굴되지 않은 석유, 캐내지 않은 금, 자연 그대로인 숲을 화폐 기반으로 한다면 그런 것들을 더 늘리려고 하지 않을까. 그 메커니즘은 하나도 신비로울 것이 없다. 당신이 석유 채굴로 인한 환경비용을 모두 물어야 한다면, 석유가 채굴되지 않을 방법을 부지런히 찾아낼 것이다. 오염물질의 단위마다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면, 어떻게든 오염물질을 줄이려고 애쓸 것이다. 같은 결.. 2023. 1. 27.